공무원 직종별 임용 규칙(봉급표) 및 실제 대우에 따른 급수 비교하기 ※ 기획재정부 장관은 2001년 재정경제부 시절 부총리급으로 격상, 이후 2008년 부처 개편 후 다시 장관급으로 제도 변경되었다. ※ 5급 대우 이상 고급 공무원에 대해서는 노동법상 사용자 직급으로 노조 활동을 할 수 없다.(군 조직 제외) ※ 평검사, 평판사(배석판사)의 보직은 5급이지만, 대통령령인 공무원 임용령(2011년 3월 7일 시행, 제5조 3항)에 의거 4급 2호봉 대우이며, 조직 내외부 업무 상 대우가 타조직 3~4급에 해당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장급 판검사의 법무부 조직내 3급 과장급 대우를 기준으로 하여 행정각부 기준인 급수 대우를 적용해서 4급 대우로 보고 있다. ※ 원래 ‘국’이라는 관료제 조직은 ‘부’과 동일한 등급을 지칭하는데, 이로 인해 부장급 판검사의 경우 법무부 국.. 더보기 [펌] 간단히 할수 있는 특수 분장의 신 더보기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11 ··· 3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