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학술정보/경제학/재정학/화폐금융

제목: 11. 3월 소비자물가 동향 분석


선진 대한민국, 반드시 해내겠습니다. <보도참고자료>

보도일시

2011. 4. . 배포시

배포일시

2010. 4. .

담당부서

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

담당과장

이용재 (2150-2770)

담 당 자

정동영 사무관(2150-2771)

제목: 11. 3월 소비자물가 동향 분석

□ ‘11.3월 소비자물가전년동월대비 4.7%(전월대비 0.5%) 상승하면서 2월에 이어 상승세를 지속

* 소비자물가 동향(%)

․전년동월비 : (10.9)3.6 (10)4.1 (11)3.3 (12)3.5 (11.1)4.1 (2)4.5 (3)4.7

․전월비 : 1.1 0.2 △0.6 0.6 0.9 0.8 0.5

농축수산물은 수급불안 완화로 하락세로 전환(전월비 △0.8%)되었고 신선식품물가도 하락(전월비 △0.6%)

* 농축수산물(전년동월비,%) : (10.9)21.1 (12)16.7 (11.1)17.5 (2)17.7 (3)14.9

ㅇ 중동불안 확대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며 석유제품 가격이 높게 상승하였고, 원가부담 증가 및 인플레 기대심리로 개인서비스 요금도 상승세

* Dubai유($/B) : (10.6)74.1 (9)75.2 (12)89.0 (11.1)92.5 (2)100.2 (3)108.5

* 기대인플레이션율(%, 한은) : (10.6)3.0 (9)3.2 (12)3.3 (11.1)3.7 (2)3.7 (3)3.9

* 개인서비스상승률(전년동월비,%) : (10.6)2.0 (9)2.2 (12)2.2 (11.1)2.6 (2)3.0 (3)3.0

농산물, 석유류 등 공급측 요인을 제외한 근원물가상승률은 개인서비스 요금 인상 및 기저효과 등으로 3.3%(전월비 0.3%) 전월(3.1%)보다 높은 편

* 근원물가(전년동월비,%) : (10.9)1.9 (12)2.0 (11.1)2.6 (2)3.1 (3)3.3

상세내용 별첨 참조

기획재정부 대변인

11.3월 소비자물가 동향 분석

11.3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4.7%(전월대비 0.5%) 상승

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석유제품 가격의 상승과 개인서비스 요금 인상 등이 3월 소비자물가 상승을 견인

. 전반적 동향

□ ‘11.3월 소비자물가전년동월대비 4.7%(전월대비 0.5%) 상승하면서 2월에 이어 상승세를 지속

* 소비자물가 동향(%:

․전년동월비 : (10.9)3.6 (10)4.1 (11)3.3 (12)3.5 (11.1)4.1 (2)4.5 (3)4.7

․전월비 : 1.1 0.2 △0.6 0.6 0.9 0.8 0.5

농축수산물은 수급불안 완화로 하락세로 전환(전월비 △0.8%)되었고 신선식품물가도 하락(전월비 △0.6%)

* 농축수산물(전년동월비,%) : (10.9)21.1 (12)16.7 (11.1)17.5 (2)17.7 (3)14.9

중동불안 확대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며 석유제품 가격이 높게 상승하였고, 원가부담 증가 및 인플레 기대심리로 개인서비스 요금도 상승세

* Dubai유($/B) : (10.6)74.1 (9)75.2 (12)89.0 (11.1)92.5 (2)100.2 (3)108.5

* 기대인플레이션율(%, 한은) : (10.6)3.0 (9)3.2 (12)3.3 (11.1)3.7 (2)3.7 (3)3.9

* 개인서비스상승률(전년동월비,%) : (10.6)2.0 (9)2.2 (12)2.2 (11.1)2.6 (2)3.0 (3)3.0

ㅇ 농산물, 석유류 등 공급측 요인을 제외한 근원물가상승률은 개인서비스 요금 인상 및 기저효과 등으로 3.3%(전월비 0.3%) 전월(3.1%)보다 높은 편

* 근원물가(전년동월비,%) : (10.9)1.9 (12)2.0 (11.1)2.6 (2)3.1 (3)3.3

<2011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>

소비자

물가지수

농 축

수산물

공업

제품

집세

공공

서비스

개인

서비스

축산물

석유류

가중치

100

8.8

2.1

30.7

5.4

9.8

16.3

34.4

전월비(%)

0.5

△0.8

△2.8

1.3

4.1

0.6

△0.8

0.5

(기여도)(%p)

0.50

△0.08

△0.07

0.41

0.26

0.06

△0.12

0.17

전년동월비(%)

4.7

14.9

11.6

5.9

15.3

3.2

0.6

3.0

(기여도)(%p)

4.70

1.32

0.24

1.84

0.90

0.29

0.10

1.05

. 부문별 동향

(농축수산물) 기후여건 개선, 구제역 완화(심각→경계단계)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하락세(전월비△0.8%) 시현

(전년동월대비, %)

농축수산물

농산물

축산물

수산물

▪11. 3월 상승률

14.9 (△0.8)

17.4 (0.0)

11.6 (△2.8)

10.5 (△0.8)

01~10년 3월 평균

4.2 (0.7)

3.3 (1.1)

6.8 (0.1)

4.5 (0.3)

* ( )안은 전월대비 상승률

(농산물) 채소, 과실 등은 3월 들어 하락세로 전환되었으나 쌀, 배추 등은 상승세를 지속

* 농산물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26.5 (11.1)24.4 (2)21.8 (3)17.4

(전월비,%) : (10.12)2.2 (11.1)2.4 (2)1.3 (3)0.0

* 3월 주요하락품목(전월비,%) : 시금치(△35.7) 양배추(△18.6) 파(△13.2) 딸기(△9.8)

* 3월 주요상승품목(전월비,%) : 배추(6.3) 쌀(2.5) 귤(5.2)

(축산물) 그간 구제역으로 출하가 지연되었으나 3월 들어 도축두수 증가*로 공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

* 3~5월 쇠고기 도축 (10)16.7만두 → (11전망)20.1만두(15%↑,농경연추정)

* 축산물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△2.9 (11.1)4.0 (2)12.3 (3)11.6

(전월비,%) : (10.12)△0.9 (11.1)6.2 (2)8.7 (3)△2.8

* 3주요하락품목(전월비,%) : 돼지고기(△6.1) 쇠고기(△2.8)

* 3월 주요상승품목(전월비,%) : 닭고기(7.5)

(수산물) 명태, 고등어 등 주요 수산물이 조업정상화 및 수입확대 등으로 전월대비 하락세로 전환

* 1~2월 명태 조업실적 : (10) 21.9천톤 → (‘11) 31.4(44.0%↑)

* 냉동고등어 수입량(1~2월) : ('10) 2,678톤 → (‘11) 21,772(712.3%↑)

* 수산물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13.2 (11.1)13.7 (2)11.4 (3)10.5

(전월비,%) : (10.12)2.8 (11.1)2.8 (2)0.1 (3)△0.8

* 3월 주요하락품목(전월비,%) : 고등어(△3.0) 명태(△2.9)

* 3월 주요상승품목(전월비,%) : 오징어(1.6) 갈치(0.9)

(공업제품)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석유제품, 가공식품 및 내구재 가격이 상승

(전년동월대비, %)

공업제품

가공

내구재

섬유류

출판물

석유류

의약품

화장품

기타

▪11. 3월 상승률

5.9

4.3

5.7

2.5

3.7

15.3

2.1

2.1

2.6

01~10년 3월 평균

3.0

4.0

0.7

2.6

3.4

5.8

1.6

1.8

3.0

(석유제품) 일본지진이후 일시적으로 국제유가가 하락하였으나 리비아 등 중동 정세불안이 확대되면서 재상승하여 강세 지속

- 휘발유 가격은 ‘08년 국제유가 급등시 최고가격(1,950원)을 갱신

* 석유류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8.3 (11.1)10.9 (2)12.8 (3)15.3

(전월비,%) : (10.12)3.4 (11.1)3.9 (2)1.5 (3)4.1

10.12월

11.1월

2월

3.30

1년전대비

국제유가(두바이유, $/B)

88.9

92.6

100.2

108.7

40%

▪휘발유(원/ℓ)

1,771

1,825

1,850

1,969

15%

▪경 유(원/ℓ)

1,570

1,622

1,652

1,690

22%

(가공식품) 구제역에 따른 돼지고기 가격상승으로 소시지, 햄 등 육가공식품 가격이 상승

* 가공식품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2.8 (11.1)2.8 (2)3.8 (3)4.3

(전월비,%) : (10.12)0.2 (11.1)1.1 (2)0.7 (3)0.7

* 3월 주요 상승품목 및 상승원인

품목

가중치

전년동월비

인상요인

▪소시지

0.8

9.7

돼지고기 가격상승(전년동월비 31.7%↑)

▪햄

1.7

11.1

돼지고기 가격상승(31.7%↑)

▪비스킷

1.8

6.1

설탕 가격상승(17.1%↑)

(내구재)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싱크대, 전기제품, 금반지 등의 상승폭이 큰 편

* 내구재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3.4 (11.1)4.4 (2)4.5 (3)5.7

(전월비,%) : (10.12)0.9 (11.1)0.1 (2)△0.1 (3)1.0

(개인서비스) 외식비 상승 등으로 개인서비스 요금은 상승세 지속

(전년동월대비, %)

개인서비스

외식

외식제외

▪11. 3 상승률

3.0

3.0

3.2

01~10년 3월 평균

3.4

3.0

3.7

외식비삽겹살, 돼지갈비 등을 중심으로 인상되었으나, 학교 급식비 하락(전월비 △17.9%)으로 전체 외식비는 전월대비 △0.4% 하락

* 외식비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2.1 (11.1)2.5 (2)3.5 (3)3.0

(전월비,%) : (10.12)0.2 (11.1)0.5 (2)1.4 (3)△0.4

* 3월 주요상승품목(전년동월비,%) : 돼지갈비(11.9) 삼겹살(12.8) 자장면(8.1)

외식제외 개인서비스는 대학등록금 인상 최소화*에도 불구하고 유치원․보육시설이용료 등의 인상으로 상승

* 사립대납입금 전년동월대비 2.5% 상승(170여개 대학은 동결)

* 외식비제외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2.3 (11.1)2.7 (2)2.7 (3)3.2

(전월비,%) : (10.12)0.3 (11.1)0.6 (2)0.4 (3)1.2

(집세) 이사철 전세물량 부족 등으로 상승세

* 집세 상승률(전년동월비,%) : (10.9)2.1 (12)2.4 (11.1)2.6 (2)2.7 (3)3.2

(전월비,%) : (10.9)0.2 (12)0.4 (11.1)0.3 (2)0.3 (3)0.6

(공공요금) 공공요금은 안정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등학교 납입금 하락(전월비 △17.3%) 등으로 전월대비 △0.8% 하락

* 공공요금 가격추이(전년동월비,%) : (10.12)0.6 (11.1)1.1 (2)1.2 (3)0.6

(전월비,%) : (10.12)△0.2 (11.1)0.9 (2)0.1 (3)△0.8

. 평가 및 전망

3월 소비자물가가 상승한 것은 농축수산물의 가격이 높게 유지되는 가운데 유가 상승*공급측 충격에 주로 기인

* Dubai유가($/B) : (10.12)89.0 (11.1)92.5 (2)100.2 (3)108.5

(전년동월비, %) : 17.8 20.6 36.2 40.3

근원물가와 개인서비스 요금 상승폭이 커지는 등 수요측면의 물가압력도 나타나고 있는 상황

<3월 부문별 물가상승률(전년동월비,%)>

향후 물가는 유가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있으나 4월이후 서서히 낮아질 것으로 예상

농산물 공급 정상화, 구제역 진정 등으로 농축산물가격 불안요인이 2/4분기 이후 완화될 전망

* 봄철채소 재배의향 면적(%, 전년대비 증가율, 농경연, 11.3월) : (봄배추) 17.7, (봄무) 11.2, (봄양배추) 11.4, (봄당근) 3.6

* 구제역 위기경보단계 심각 → 경계로 하향 조정(3.24일)

다만, 중동정세 불안 등으로 고유가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 있는 등 불안요인 상존

- 곡물 등 원자재가격도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, 신흥국 수요증가, 재고감소 등으로 강세 지속 소지

- 제유가 및 원자재가격 상승이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, 서비스요금국내물가에 반영될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

물가여건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므로 ‘비상물가대응체제’하에 가가 안정될 수 있도록 단기적 및 구조적대응 등 총력 경주